'복지'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복지22

육아 휴직 급여 알아보고 신청하기. 신청 안 하면 손해입니다. 육아휴직급여는 자녀 양육을 위해 직장을 잠시 떠나는 근로자에게 소득을 보전해주는 제도입니다. 특히 출산 후 경력 단절을 우려하는 부모들에게는 경제적 안정과 직장 복귀를 돕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청 절차나 자격 조건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어, 많은 분들이 혜택을 놓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육아휴직급여의 신청 방법과 대상 조건을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육아휴직급여 신청 바로가기👆육아휴직급여 신청 바로가기👆✅ 신청 방법 육아휴직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며,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후 '육아휴직급여 신청' 메뉴를 선택하여 절차를 진행하면 됩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 2025. 5. 17.
[만15세 ~ 69세 이하]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안하면 손해! 신청방법 포함. 대상인지 알아봐요. 고용24_개인 www.work24.go.kr:443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들에게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정부가 시행하는 대표적인 고용안전망입니다.이 제도는 구직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이들에게는 생계비까지 지원하여 취업 성공을 도와줍니다.특히 청년, 중장년, 경력단절여성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 전반의 고용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바로가기👆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바로가기👆✅ 신청 방법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고용노동부의 '국민취업지원제도'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회원가입 후 로그인하여 신청서를 작성하고, 필요한 서류를 첨부하면 됩니다.신청 후에는.. 2025. 5. 16.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신청 대상 및 신청 방법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저소득 가구의 근로 의욕을 높이고 자녀 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매년 5월 정기 신청 기간에 많은 분들이 신청하고 있으며, 자격 요건과 신청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특히 가구 구성과 소득, 재산 요건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달라지므로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홈택스에서 신청하기👆✅ 신청 방법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온라인, 전화, 모바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를 통한 온라인 신청입니다.홈택스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장려금 신청 메뉴에서 안내에 따라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하면 됩니다.신청 안내문을 받은 경우, 개별인증번호를 입력하여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모바.. 2025. 5. 15.
장애아동수당 신청 방법 장애아동을 둔 가정에게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특히, 장애아동수당은 저소득 가정의 장애아동에게 매월 일정 금액을 지원하여 생활 안정을 도모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이 수당은 아동의 장애 정도와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신청 절차도 비교적 간단하여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지금 바로 신청 방법과 대상 조건을 확인해보세요.장애아동수당 신청 바로가기👆✅ 신청 방법 장애아동수당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신청 시에는 아동의 장애 등록 여부와 가구의 소득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주민센터에서는 제출된 서류를 바탕으로 자격 요건을 심사하여 수당 지급 여부.. 2025. 5. 15.
자녀 장려금, 18세 미만 자녀 1인당 최소 50만원 지급하는 제도(부부 합산 총 소득 7,000만원 미만) 자녀 장려금이란?저소득 가구의 자녀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총소득(부부합산) 7,000만원 미만이면서 18세 미만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 1인당 최초 50만원, 최대 100만원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수급 요건은 근로장려금과 동일힙니다.  신청자격&- 재산요건ㆍ 전년도 6월 1일 현재, 가구원 전체의 재산 합계액(주택·토지·건물·예금 등)이 2억4천만 원 미만일 것* 주택·토지·건축물(시가표준액), 승용자동차(시가표준액, 영업용제외), 전세금3), 금융자산·유가증권, 회원권,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1)1세대(가구)의 범위 – 2023.12.31. 현재 거주자와 다음의 ①,②,③에 해당하는 자가 구성하는 세대 ① 배우자 ②거주자 또는 그 배우자와 동일한 주소 또는 거소에 거주하는 직계존비속 ③부양자녀2).. 2024. 11. 24.
[복지] 주민복지 생계급여 안내 생계급여대상- (필수) 가구의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이 기준중위소득 32%% 이하이면서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 환산액                                                                    ㄴ  [(일반재산 - 기본재산액 공제) + (금융재산 - 2,000만원 공제) - 대출]                                                                              x 소득 환산율(4%) ÷ 12개월                                           ㄴ 소득평가액  : 실제소득 - 가구 특성별 지출비용 - 근로소득공제          .. 2024. 9. 23.
[복지] 장애인(보호자 공동명의) 자동차 혜택 장애인(보호자 공동명의) 자동차 혜택 - 승용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교육세 면제 (합산 500만 원 이내)    · 차량 가격의 5%(경차는 면제)     · 교육세 면제(부과된 개별소비세의 30%)      · 개별소비세를 면제할 승용자동차는 해당 장애인 등 본인 명의로 구입하거나 장애인 등과 주민등록표·외국인등록표 또는 국내거소신고원부에 의하여 세대를 함께 하는 것이 확인되는 배우자·직계존비속·형제자매 또는 직계비속의 배우자와의 공동명의로 구입하는 것에 한합니다.      · 다만, 노후한 장애인 전용 승용차를 교체하거나 폐차하기 위하여 장애인 전용 승용자동차를 취득하여 1인 2대가 된 경우에는 종전의 승용자동차를 새로 취득한 장애인 전용 승용자동차의 취득일부터 3개월 이내에 처분하고, 같은 기간.. 2024. 6. 3.
[복지]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정보통신보조기기 지원 소개('24년 신청은 5. 7 ~ 6. 21. 까지 2024 정보통신보조기기 보급사업을 소개합니다.필요하신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면 좋겠네요. 1. 대상    - 장애인 복지법 제32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 한 장애인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된 자 중 상이등급 판정을 받은 자 2. 지원내용   - 보조기기 제품 가격 기준 정부지원 80%, 자부담 20%( 개인이 일부 부담을 해야 하는 사업입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은 개인부담금의 50% 추가 할인  3. 신청 / 보급    - 신청 / 보급 절차 : 지자체로 신청  - 대상자 선정 - 결과 발표 - 개인 부담금 납부 후 업체로 부터 기기 수령    - 신청 방법 : 구비서류 구비 후 방문 접수, 우편 접수, 인터넷 접수  .. 2024. 5. 28.
울산광역시 특수학교(4개) 현황 울산광역시 특수학교 현황 : 4개공립 : 2개 사립 : 2개사립 태연학교주소 : 울산 북구 대안 4길 60(대안동 156번지)연락처 : 052-298-3703       052-298-1814https://school.use.go.kr/taeyoun-s/M010201/    공립 울산혜인학교주소 : 울산광역시 중구 북부순환도로 777연락처 : 052-283-8008       052-283-8030https://school.use.go.kr/hyein-s/M01 공립 울산행복학교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언양로 594연락처 : 052-255-5800       052-254-2211https://school.use.go.kr/haengbok-s/M01 사립 메아리학교주소 : 울산 북구 갓안1길 8.. 2024. 4. 27.
경상남도 특수학교(11개) 현황 경남 특수학교 현황 : 11개공립 : 9개 (창원, 창원, 거창, 밀양, 양산, 의령, 김해, 진주, 잠포)사립 : 2개 (창원, 거제) 없음 : 9개(합천, 창녕, 함양, 산청, 함안, 하동, 사천, 고성, 남해)공립 창원천광학교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 878번 길 20055-283-2997     055-283-3097https://cheongwang-s.gne.go.kr/cheongwang-s/main.do  공립 창원시 경남혜림학교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북2길 48055-290-4300     055-290-4200https://hyerim-s.gne.go.kr/hyerim-s/main.do 사립 창원동백학교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반동길 370055-223-2900      055-223-5810h.. 2024. 4. 27.
경상북도 특수학교(8개) 현황 특수학교 현황 : 8개공립 : 3개(경주, 상주, 경산)사립 : 5개(포항, 안동, 안동, 구미, 영천)공립 경주 경희학교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초당길 15번 길 15(동천동, 경주경희학교)연락처 : 054-749-1542https://school.gyo6.net/gyeonghui/main.do?sysId=gyeonghui  공립 상주 상희학교주소 : 경상북도 상주시 상서문1길 99(남성동, 상희학교)연락처 : 054-534-8790https://school.gyo6.net/sangheesc/main.do?sysId=sangheesc 공립 경산 경산자인학교주소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원효로 156길 83연락처 : 053-859-5600https://school.gyo6.net/gsjain/main... 2024. 4. 27.
저소득층 자녀 및 특수교육대상자(장애) 방과후 자유수강권 지원(연간 60만원 / 96만원) 방과 후 수강권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방과 후 수업 외에 태권도, 합기도, 국악, 체육 활동 등 교육청에서 지정한 외부 연계기관에서 학생들이 원하는 교육을 지원금액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일단 지원해 보세요~ ● 지원대상 : 공·사립초, 공·사립 중·고, 특, 학평 ● 지원금액 : 1인당 연간 60만원(특수교육대상자 96만 원) ● 지원기준 -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한부모가정, 법정 차상위, 소득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보훈대상 자녀 중 교육지원대상자, 북한이탈주민 자녀, 난민 인정자 또는 그 자녀, 소년소녀가장, 복지시설수용 학생, 난치병 학생, 특수교육대상자, 학교장 추천 등 ● 지원범위 : 교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및 지역사회 연계기관 프로그램* 등 * 연계.. 2024. 4. 9.
대구교육청 난치병 및 정신건강 의학적 질환 학생 의료비 지원 대구광역시교육청 난치병 및 정신건강 의학적 질환 학생 의료비 지원 절차는 붙임파일을 참고하여 주시고 구체적인 문의사항은 아래 번호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동부교육지원청(중구, 수성구, 동구 지역 학교 관할): 053-232-0112 - 서부교육지원청(서구, 북구 지역 학교 관할): 053-233-0094 - 남부교육지원청(남구, 달서구 지역 학교 관할): 053-234-0072 - 달성교육지원청(달성군 지역 학교 관할): 053-235-0193 - 군위교육지원청(군위 지역 학교 관할): 054-380-4216 https://blog.naver.com/col7979/223410302273 대구교육청 난치병 및 정신건강 의학적 질환 학생 의료비 지원(참고) 의료비 지원 대상 질환 : 187개 blo.. 2024. 4. 9.
대구 지역 특수학교(11개교) 현황 대구남양학교 - 주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37안길 6(지산동 1022번지) - 연락처 : 교무실 053)231-3008 - 학급편제 :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대구세명학교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새방로 62 - 연락처 : 교무실 053) 231-9566 - 학급편제 :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대구예아람학교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비슬로 1934 - 연락처 : 교무실 053) 235-5223 - 학급편제 :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대구광명학교 -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성당로 50길 33 - 연락처 : 행정실 053) 231-3333 - 학급편제 :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공과 대구덕희학교 - 주.. 2024. 4. 9.
[복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 기초생활수급자 선정은 소득과 재산, 부양의무자의 기준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2024년 급여종류별 수급자 선정기준 ※ 보장시설에 위탁하여 생계급여를 실시하는 경우 선정기준은 다릅니다. 부양의무자 기준(의료급여에만 해당)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또는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부양의무자의 범위 : 수급권자의 1촌의 직계혈족(부모, 아들ㆍ딸 등) 및 배우자(며느리, 사위 등). 단, 사망한 1촌의 직계혈족의 배우자는 제외 여기서 중요한 부양 능력 유무의 판정 - 소득ㆍ재산 기준 * A : 수급권자 가구의 중위소득 * B : 부양의무자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ㆍ부양능력 있음 :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 판정소득액이 A의 40%와 B의 100%를 합한 금액 이상이거나, 재산의 소득.. 2024. 3. 9.
[복지] (장애인 정책) 장애인의 세제혜택(자동차, 보험, 물품구입, 소득세, 증여세, 상속세, 의료비 등) 1. 승용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면제 2. 장애인용 차량에 대한 취득세(종전 등록세 포함) 자동차세 면제 3. 승용자동차 LPG 연료사용 허용 4. 차량 구입시 지역개발공채 구입 면제 5. 소득세 공제 6. 장애인 의료비 공제 7. 장애인 특수교육비 소득공제 8. 장애인 보험료공제 9. 상속세 상속 공제 10. 증여세 과세가액 불산입 11. 장애인 보장구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12.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 감면 13. 특허출원료 또는 기술평가청구료 등의 감면 승용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면제 - 지원대상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본인 명의 또는 장애인과 주민등록표상 생계를 같이 하는 배우자 · 직계존속 · 직계비속 · 직계비속의 배우자 · 형제 · 자매 중 1인과 공동명의로 등록한 승용자동차 1대 .. 2024. 3. 8.
[복지] (장애인 정책) 장애인 재활 지원 2-2 장애아동 의료재활시설 운영 -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 내용 ▶ 장애의 진단 및 치료 ▶ 보장구 제작 및 수리 ▶ 장애인 의료재활상담 등 ※ 의료급여수급권자 및 시 · 군 · 구청장의 무료진료추천자는 무료, 그 외의 자는 실비부담 *의료급여증과 장애인등록증(복지카드)을 제시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 지원대상 ▶ 등록한 여성장애인 중 출산한 여성장애인 - 내용 ▶ 출산(유산, 사산포함) 태아 1인 기준 1백만원 지급 *읍 · 면 · 동에 신청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수검자 - 내용 ▶ 건강검진 시 유니버설 검진장비, 탈의실, 접수대 등 편의시설, 검진보조인력(수어통역사) 배치 등 지원서비스 제공 * 거주지 인근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에 문의 (장애의 정.. 2024. 3. 8.
[복지] (장애인 정책) 장애인 재활 지원 2-1 발달재활서비스 - 지원대상 ▶연령기준 :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 ▶장애유형 : 뇌병변, 지적, 자폐성, 언어, 청각, 시각 장애아동 ▶소득기준 : 전국가구평균소득 150% 이하 ▶기타요건 * 장애인복지법상 등록장애아동 * 다만, 등록이 안된 만6세 미만 아동은 의사진단서(검사자료 포함)로 대체 가능 - 내용 ▶매월 14만원∼22만원의 발달재활 서비스 바우처 지원 ▶언어 · 청능, 미술 · 음악, 행동 · 놀이, 심리, 감각 · 운동 등 발달재활서비스 선택하여 이용 * 읍 · 면 · 동에 신청 언어발달 지원 - 지원대상 ▶연령기준 : 만 10세 미만 비장애아동(한쪽부모 및 조손가정의 한쪽 조부모가시각 · 청각 · 언어 · 지적 · 뇌병변 · 자폐성 등록 장애인) ▶소득기준 : 전국가구평균소득 100% 이.. 2024. 3. 7.
[복지] (장애인 정책) 장애인 의료 지원 장애인의료비 지원 지원대상 - 의료급여법에 의한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인 등록장애인 - 건강보험의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 대상자인 등록장애인 (만성질환 및 18세미만 장애인) 내용 - 의료기관 이용시 발생하는 급여항목 본인부담금의 일부 또는 전액 지원(비급여 제외) * 1차 의료기관 외래진료 본인부담금 750원 일괄지원 - 2차, 3차 의료급여기관 진료 * 의료(요양)급여수가적용 본인부담진료비 15%(차상위 14%, 암환자 5%, 입원 10% 등) 전액을 지원하되 본인부담금 식대 는 지원하지 않음 * 의료급여증과 장애인 등록증을 제시 건강보험지역가입자의 보험료경감 [자동차분 건강보험료 전액면제] - 지원대상 : 장애인복지법 규정에 의해 등록한 장애인 소유 자동차 - 내용 : 해당 자동차는 건강보험료 산정시.. 2024. 3. 7.
[복지] 장애인 고궁, 국공립 박물관, 공연장 감면 / 전기요금, 도시가스 할인 / 철도.도시철도 요금 감면 고궁, 능원, 국공립 박물관 및 미술관, 국공립공원, 국공립공연장, 공공체육시설 요금 감면 - 지원 대상 : 등록장애인 및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과 동행하는 보호자 1인 * 대관 공연은 할인에서 제외 - 내용 : 입장요금 무료 ▶ 국공립 공연장(대관은 제외) 및 공공체육시설 요금은 50% 할인 ▶ 공공체육시설 : 생활체육관, 수영장, 테니스장, 스키장 등 전기요금 할인 - 지원 대상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내용 ▶ 전기요금 정액 감액 * 여름철(6~8월) 월 20,000원 한도 * 기타 : 월 16,000원 한도 - 한국전력 관할지사.지점에 신청(방문, 전화), 아파트는 관리사무소에 문의 도시가스 요금 할인 - 지원 대상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내용 * 주택용(취사용 및 개별난방.. 2024. 3. 6.
반응형